aws15 [CodeCommit/Git] Windows 환경에서 CodeCommit Credentials 변경 방법 (fatal: unable to access: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CodeCommit의 레포지토리는 AWS IAM에서 사용자에 대한 Git 자격증명을 사용하여 HTTPS 연결이 된다. 사용자에대한 IAM 권한도 적절히 부여되어있다면 (Codecommit Repository 접근 권한) 로컬에 저장된 자격증명 문제일 수 있다. (자격증명에 대한 정보 잘못 입력, 관리 실수로 IAM에서 자격증명 삭제된 경우 등) 이 자격증명에 대한 정보가 잘못 입력되었거나, 관리 실수로 IAM에서 자격증명이 삭제된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 git clone [repository HTTPS url] Cloning into 'Repository'...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codecommit.ap-northeast-2.amazonaw.. 2022. 1. 25. [AWS] Route53, ELB로 EC2의 웹 서비스 하기 EC2 인스턴스에 개발된 내용을 올리고 이를 외부에 서비스하고자 한다.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target group 생성 ALB 생성 Route53 도메인 호스팅 영역 설정 ACM 인증서 발급 HTTPS 리스너 등록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이러한 인스턴스를 public subnet에 생성하고 EIP를 할당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어려움이 있다. 운영 서버가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보안 취약점 존재 HTTPS 통신시 사설 인증서를 인스턴스에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 존재 비용, 구성 등의 이슈로 한 인스턴스에 두가지 이상의 웹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경우, 외부에서는 포트를 구분하여 접근해야 함 이러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아래의 아키텍처를 들 수 .. 2022. 1. 19. [AWS/EKS] 콘솔로 생성하는 EKS - ① intro, network 고려사항 AWS를 처음 접하는 분들은 콘솔로 작업을 많이 할 것이다. AWS에서는 eksctl이나 cloudformation 기반 방법을 주로 설명하고있으나, 필요한 설정, 역할에대한 이해를 위해 직접 콘솔에서 하나하나 만들어가며 구축해보기로 했었고, 예전에 따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한다. 이 글은 콘솔 구축에 익숙한 분들, EKS 구축에 필요한 요소들에대한 파악 목적인 분들을 위해 작성한다. 1. 아키텍처 EKS에서는 아래 세 가지 클러스터 네트워크 유형을 지원한다. Public and private subnets 퍼블릭 서브넷에 LB를 배치하고 프라이빗 서브넷에 node들을 배치 2개 이상의 가용영역 필요 퍼블릭 서브넷 2개, 프라이빗 서브넷 2개 이상 필요 Only public subnets 퍼.. 2022. 1. 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