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C-CNI2 [EKS/Error] aws-node 동작 안됨 문제 (EKS Node NotReady) AWS EKS에 생성된 Pod들에는 EKS Cluster 생성시 선택하였던 Subnet의 IP들이 할당되며 이를 VPC 네트워킹이라고 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EKS가 이러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VPC_CNI 플러그인 설정을 해주었다. 이 VPC_CNI는 EKS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에서 aws-node라는 이름의 DaemonSet 형태로 배포되어있다. 이 aws-node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으면 노드그룹의 인스턴스들이 모두 NotReady 상태가 된다 (Pod가 생성될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됨). AWS에서는 다음 글과 같이 aws-node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 확인해야할 부분 (서브넷 내 가용 IP 수, CNI)을 알려주고있다 (https://aws.amazon.com/ko/prem.. 2022. 5. 5. [AWS/EKS] 콘솔로 생성하는 EKS - ② EKS Cluster 생성, OIDC 구성 앞선 포스팅의 네트워크 고려사항이 다 만족되었다면 EKS Cluster를 생성할 준비가 되었다. Kubernetes는 아래와같이 Control Plane과 Data Plane으로 나뉜다. Control Plane: master node, pod 스케쥴링과 kubernetes의 진입점 (API 서버) 등을 제공 Data Plane: worker node, pod가 실제 생성되어 작업을 수행 EKS는 EKS Cluster와 Node Group으로 구성되며 EKS Cluster는 Control Plane, Node Group은 Data Plane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KS Cluster 생성과 생성에 필요한 IAM 역할, VPC CNI 설정을 다룬다. 1. EKS Cluster IAM 역할 .. 2022. 1. 10. 이전 1 다음